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🍼 임신·출산 관련 주요 혜택

생활팁

by 데일리굿팁스 2025. 6. 6. 13:05

본문

반응형

풀위에 아기신발이있다

사진출처votsis-panagiotis-pexels

 

1.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(국민행복카드)

 

지원 내용: 임신 1회당 100만 원 지원

 

다태아 임신 시: 쌍둥이 200만 원, 세쌍둥이 300만 원, 네쌍둥이 이상 400만 원 지원

 

사용처: 산부인과 진료, 약국, 조산원 등 의료기관 

 

 

2. 제왕절개 분만 본인 부담금 전액 지원

 

시행일: 2025년 1월 1일부터

 

지원 내용: 제왕절개 분만 시 진료비 본인부담금 0% 적용 

 

 

3. 첫만남 이용권

 

지원 대상: 출생아 전원

 

지원 금액: 첫째아 200만 원, 둘째아 이상 300만 원

 

사용 기간: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

 

사용처: 병원, 약국, 조리원, 유아용품 구매 등 

 

 

4. 부모급여 및 아동수당

 

부모급여: 만 0세 아동에게 월 100만 원 지급

 

아동수당: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 원 지급 

 

 

5. 산후도우미 지원

 

지원 대상: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필요 가정

 

지원 내용: 산후도우미 서비스 비용 일부 지원

 

신청 방법: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온라인 신청 

 

 

 

---

 

👶 난임 및 임신 준비 지원

 

6.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

 

지원 대상: 20~49세 남녀

 

지원 내용:

 

여성: 난소기능검사(AMH), 부인과 초음파 등 최대 13만 원 지원

 

남성: 정액검사 등 최대 5만 원 지원

 

 

지원 횟수: 주요 주기별 1회, 최대 3회 지원

 

신청 방법: 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 

 

 

7.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

 

지원 대상: 의학적 사유로 영구 불임이 우려되는 남녀

 

지원 내용:

 

여성: 최대 200만 원 지원

 

남성: 최대 30만 원 지원

 

 

시행일: 2025년 4월부터 

 

 

 

---

 

🏠 주거 및 기타 지원

 

8. 주거비 지원 확대

 

지원 대상: 서울 거주 무주택 가구 중 자녀를 출산한 가정

 

지원 내용: 출생아 1명당 매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 지원 

 

 

9.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

 

지원 내용: 휴가 기간 20일로 확대 (기존 10일에서 증가), 최대 4번에 나눠 사용 가능

 

사용 기간: 출산 후 120일 이내 사용 가능 

 

 

 

---

 

📌 참고사항

 

신청 방법: 각 혜택별로 신청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, 해당 지자체나 보건소에 문의하시거나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지원 대상: 일부 혜택은 소득 수준, 거주 지역 등에 따라 지원 대상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
 

변경 사항: 정책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,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